요새 필즈상을 거부한 페렐만이 유명세를 타고 있는데....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라는 걸출한 수학자 역시
필즈상을 수상한 위대한 수학자였지만 1988년에 학계를 완전히 떠났다.
그의 정치성향은 매우 좌파적이었으며,
자신이 세운 수학연구소 IHES에 국방관련연구비가 유입되었다 해서 즉시 떠나 버릴 정도였다 한다.

다음은 위키에서 옮겨온 그에 대한 글이다...

알렉산더 그로텐디크(Alexander Grothendieck, 1928년 3월 28일 - )는 20세기에 활동한 많은 수학자들 중 가장 중요하고 위대한 수학자들 중의 하나로 손꼽힌다. 독일 베를린에서 태어났다.

함수해석학(functional analysis)와 호몰로지 대수학(homological algebra), 그리고 특히 대수기하학(algebraicgeometry)에서 혁혁한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그로센딕이 호몰로지 대수학과 대수기하학에서 남긴 업적들은 두 분야의 지형과연구 방법, 관점 등을 완전히 바꾸어 놓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혁명적인 업적들이었다.

호몰로지 대수학에서는 최초로 Derived functor의 개념을 창안했으며 (도호쿠 대학 수학 저널에 실렸다.), 대수기하학에서는 스킴(scheme)이론으로 기존의 언어들을 완전히 새로 썼으며, 호몰로지 대수학의 기술을 스킴 이론에 철저하게 적용시켜 수없이 많은 대수기하학의문제들을 새롭게 증명하거나, 혹은 새로운 문제들을 해결하였다. 스킴 이론이 대수기하학에 도입됨으로써 비로소 수학자들은, 오랜시절부터 많은 수학자들의 꿈이었던, 정수론과 대수기하학을 통합된 관점으로 바라보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 이후에도 그가 만들어 낸 모티브에 대한 가설은 그로텐디크가 수학을 관둔 이후 수십년간 많은 수학자들이 연구 방향을 잡는 이정표 역할을 해 주었다. 이러한 토대 위에서 블라디미르 보예보츠키같은 수학자는 2002년 모티브에 대한 일부 가설들을 증명하여 필즈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그로텐디크 자신도 위에서 언급한 위대한 업적들로 인해 1966년 필즈상을 수상하였으며, 1988년에는 또 다른 필즈상 수상자인 수학자 피에르 들리뉴 (Pierre Deligne)와 함께 크라포르드 상(Crafoord prize)의 수상자로 결정되었으나, 그로텐디크 본인이, 윤리적인 문제를 들어 수상을 거절하기도 했다.

그로텐디크의 업적들은, 그 현란한 추상적인 접근 방식과, 그 추상적인 아이디어들을 표현하는 그로텐디크의 완벽주의적 정신의 결정체로 유명하다.


.... 이해하기 힘든 수학 얘기는 중략 ^^ ....

어린시절 그리고 공부

그로텐디크는 우크라이나 출신의 유대인 아버지와 함부르크 출신의 독일계 개신교 신자인 어머니 아래에서 태어났으며, 2차 세계 대전의격동기 때문에 불운한 어린 시절을 보내야만 했다. 그로텐디크의 아버지의 이름은 알렉산더 샤피로(Alexander Shapiro;Shapiro가 성), 어머니의 이름은 항카 그로텐디크(Hanka Grothendieck; Grothendieck가 성)이었다.그로텐디크는 자신의 성을 아버지가 아닌 어머니에게서 따 왔다. 양친은 모두 아주 혁명적인 사회주의자였다. 1933년까지 그로텐디크는 양친과 함께 베를린에서 살았으나, 그해 연말 아버지는 파리로 이사를 했으며, 어머니 항카는 그 이듬해에 파리로 이주했다. 그로텐디크은 부모님을 따라가지 못하고 함부르크에 남아서 다른 친척들의 집에서 머물며 학교를 다녔다. 그로텐디크의 부모님들은 한편 그 당시 스페인 내전에서 사회주의자 측의 전투요원으로 전쟁터에 자원해서 싸우고 있었다. 그후, 1939년, 그로텐디크는 독일의 유대인 학대를 피해, 그의 어머니 항카와 함께 프랑스 곳곳의 유대인 피난 캠프를 떠돌아 다니면서 생활했다. 그로텐디크의 아버지는 1942년, 독일의 나치 정권에 의해 아우슈비츠 수용소로 보내졌으며 그 해에 사망하였다.

2차 세계 대전이 독일의 패배로 막을 내린 후, 젊은 그로텐디크는 프랑스 몽펠리에(Montpellier)에서 수학 공부를 시작하였다. 처음 그가 수학 공부를 시작한 이유는, 누군가가 그에게 '20세기 초에 이미 수학의 모든 문제는다 풀렸기 때문에, 공부할 것이 없다'고 말했기 때문에, 쉽게 수학 교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물론,그 말은 전혀 사실이 아니었다.) 어찌된 이유였건 수학 공부를 시작한 이후, 그로텐디크의 뛰어난 수학적 능력은 여러 교수들의눈에 띄었고, 이들의 추천으로 1948년, 그로텐디크는 더 심도있는 수학 공부를 위해 프랑스 파리로 이사를 가게 되었다. 당시 프랑스에서 가장 뛰어난 수학자들 중 한 사람은 해석학 분야의 로랑 슈와르츠 (필즈상 수상자)였고, 그로텐디크는 슈와르츠의 지도아래 1950년부터 함수해석학을 공부하였다. 그로텐디크는 공부를 시작하자 마자 금새 위상 벡터 공간(topological vector space)에 대한 세계적인 전문가가 되었으나, 이런 손쉬운 성공에, 이 분야에서는 더이상 공부할 만한 재미있는 문제가 없다고 느낀 그는 1957년부터 더 어렵고 풀리지 않은 문제가 많다고 소문난 대수기하학호몰로지 대수학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물론, 당연한 결과이겠지만, 이 분야들에서도 그로텐디크는 독보적인 업적을 남기게 되었다.

정치, 그리고 수학계에서의 도피

그로텐디크의 극좌파적 정치성향과 평화주의적인 정치성향은, 의심할 여지없이 그가 몸소 겪은 끔찍한 2차 세계 대전중의 어린 시절의 영향때문이었다. 이러한 정치 성향으로 인해 그는 간혹 주변 사람들이 몸서리칠 만한 행동들을 자주 하였는데, 예를들자면 베트남 전쟁중, 미군의 공중 폭격이 가해지고 있던 베트남하노이 근교의 숲속에서 카테고리 이론의 세미나를 태연하게 연다던가 하는 것이었다. 그는 이런 것을, 일종의 반전 시위로 여겼다. 그로텐디크는, 프랑스의 부유한 수학자였던 디외도네(Dieudonné)의 지원으로 프랑스 파리에 IHES(Institut des Hautes Etudes Scientifiques)를 설립하였으나, 자신이 설립한 이 기관에서 1970년에갑자기 떠나기로 결심을 한다. (SGA 1, Springer LNM 224의 서문에서 프랑스어로 이유를 작성하였다.) 그것은바로, 순수한 학문 연구기관인 IHES에, 프랑스 국방부의 군사용 연구자금이 일부 들어왔기 때문에 이에 항의하는 뜻이었다. 그이유로 그는 잠시 학계를 떠났다가, 2차 세계 대전 이후 그가 처음으로 수학 공부를 본격적으로 시작했었던 몽펠리에 대학으로 가서 교편을 잡았다. 그는 몽펠리에에서 1988년까지 몸담았다. 1988년에 학계를 완전히 떠나면서 그는 프랑스 남부의 어느 알려지지 않은 농촌 마을에서 농사를 지으며 소일하겠다며 모든 것을 버리고 자취를 감추었다. 그의 학계에 대한 비판은 그가 1988년, 크라포르드 상(Crafoord Prize)의 수상을 거절하는 이유로 쓴 편지 (영문)에서 잘 읽어볼 수 있다.

Manuscripts written in the 1980s

... 이해하기 힘든 수학얘기는 또 생략 ^^ ...

잠적

In 1991, he left his home and disappeared. He is said to now live inthe South of France and to entertain no visitors. Various false rumorshave him living in Ardèche,herding goats and entertaining radical ecological theories. Though hehas been inactive in mathematics for many years, he remains one of thegreatest and most influential mathematicians of modern times.


Posted by Rainyvale
,


공직선거법 개정 촉구 상단 좌측